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Tech73

vpopmail 도메인, 유저 추가 안될때 /home/vpopmail/etc/vpopmail.mysql 에 들어가면 localhost|0|root|1234|vpopmail -> db 유저 패스워드 호스트 포트 설정하는게 있다. 내 경우 포트를 3306 , 호스트는 localhost, 나머지는 mysql 셋팅에 맞게 설정 해줬는데 이런 에러가 떴다. Error - no authentication database connection. Initial open. 망할 아무리 찾아도 없다가 겨우 하나 찾아낸 방법이다. localhost 부분을 127.0.0.1 로 변경하고 포트 설정을 다시 초기때처럼 0으로 설정해주니 정상적으로 도메인 유저 추가가 진행됬다. 2016. 10. 26.
소스설치 configure 에러시 configure: error: xslt-config not found. Please reinstall the libxslt >= 1.1.0 distributionyum install libxslt-devel configure: error: Could not find net-snmp-config binary. Please check your net-snmp installation.yum install net-snmp-devel configure: error: Please reinstall readline - I cannot find readline.hyum install readline-devel configure: error: Cannot find pspellyum install aspell-devel.. 2016. 10. 25.
pstree가 안먹힐때 처음에 os설치시 최소설치로 하면 pstree 가 command not found 가 나온다 이럴땐 간단하게 패키지 설치로 해결 가능하다# yum -y install psmisc이후 pstree 명령어 잘 실행된다. 2016. 10. 12.
레이드 정리 각 raid 별 특징 1. raid 0 (같은 모델의 하드디스크와 용량이어야 함)- 스트라이핑 - 중요데이터는 무조건 백업해야함- 하나의 데이터를 분산저장 함 - 속도는 빠름- 디스크중 하나만 에러나도 데이터 망실- 1T + 1T = 2T 이렇게 생각하면 쉬움 1~50 // 1T(2) -> 51~100 = 하나의 데이터중 1~50까지의 범위는 (1)번하드로 나머지는 (2)번하드로 저장함 > 2. raid 1 - 미러링 - 하나의 디스크에 모든데이터가 기록되고 나머지 다른 하드에 그대로 데이터를 복사- 1개의 디스크가 에러나도 데이터망실 가능성 x - 1T + 1T = 1T(한개는 복제되는 디스크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아님) - 속도는 떨어짐 3. raid 1+0 , 0+1- 레이드 0.. 2016. 10. 12.
리눅스 history 시간 남기기 #vi /etc/profile 에 들어가서 맨 아래 추가 export HISTTIMEFORMAT="%Y-%M-%d_%H:%M:%S" 이러면 history 명령어를 치면 날짜와 시간이 나온다 단 서버 시간을 현재와 맞춰줘야 한다. 2016. 9. 28.
centos 7 yum 사용시 rpmdb open failed 에러 발생시 패키지 설치를 위해 yum을 사용했는데 해당 에러가 나왔다.# yum -y intall openssl openssl-devel오류: rpmdb: BDB0113 Thread/process 5632/139869042812736 failed: BDB1507 Thread died in Berkeley DB library오류: dbenv->failchk의 db5 오류(-30973): BDB0087 DB_RUNRECOVERY: Fatal error, run database recovery오류: db5(을)를 이용하여 Packages 인덱스를 열 수 없습니다 -  (-30973)오류: /var/lib/rpm 안의 패키지 데이터베이스를 열 수 없습니다CRITICAL:yum.main:Error: rpmdb open fa.. 2016. 9.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