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pache

apache prefork/worker 방식의 차이점

by ohrohi 2016. 8. 30.
반응형

Prefork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메모리 영역까지 복제하여 실행합니다. 프로세스가 소비하는 메모리가 많습니다. 이것 때문에 사람들이 엔진엑스보다 아파치가 메모리를 많이 먹는다 라고들 합니다. 메모리는 많이 먹는 대신 응답 프로세스를 미리 띄어 놓고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하면 자식 프로세스가 반응하게 됩니다.

Worker

일반적으로 멀티 CPU인 서버에서의 성능이 뛰어납니다. 요즈음 쿼드 코어다 헥사코어다 해서 CPU들의 코어가 2개 이상인 시스템이 많죠 요청을 쓰레드(thread) 단위로 처리하며 최대 64개의 쓰레드로 할 수 있습니다.지정된 만큼의 프로세스와 각 쓰레드를 준비하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들이는 방식입니다. 대신 Prefork보다 아주 적은 메모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두 방식의 속도 차이는 없습니다. Worker이 Prefork에 비해 불안정적이다 라고 말하시는 분들도 재법 보았습니다.국내에서는 대부분의 개인서버 또는 분들이 Prefork를 많이들 사용하십니다. 그런데 외국에서는 Prefork보다 Worker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그리고 우분투 12.04의 경우도 기본 패키지 설치방식이 worker로 변경되었습니다.

반응형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me 설정  (0) 2016.08.30
htpasswd 설정하기  (0) 2016.08.30
아파치 실행이 안될경우  (0) 2016.08.30
APM 연동  (0) 2016.08.30
apache 소스 설치  (0) 2016.08.30